![]() |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관이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 주최로 9일 서울 강남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6월 월례 조찬포럼에 참석, ‘스마트하고 유연한 전력시스템 구축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앞으로 폐쇄되는 석탄발전소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재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재생에너지에서 생산한 전력이 넘쳐날 때 남은 전력을 열로 전환해 석탄발전소 내부 보일러실에 저장하고 전력이 필요할 때는 저장했던 열을 전력으로 다시 생산하는 방식이다.
석탄발전소를 ESS로 재활용하면서 좌초 자산을 최소화하고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 준공한 지 20년 지난 석탄발전소 (단위: MW, 년도)
발전기 | 설비용량(MW) | 위치 | 준공년도 |
태안 1~6호기 | 3000 | 충남 태안군 | 1995~2002 |
당진 1~4호기 | 2000 | 충남 당진시 | 1999~2001 |
보령 3~6호기 | 2000 | 충남 보령시 | 1993~1994 |
동해 1~2호기 | 400 | 강원 동해시 | 1997~1998 |
삼천포 3~4호기 | 1120 | 경남 고성군 | 1993~1994 |
하동 1~6호기 | 3000 | 경남 하동군 | 1997~2001 |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관은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 주최로 9일 서울 강남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6월 월례 조찬포럼에 참석, ‘스마트하고 유연한 전력시스템 구축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 전력정책관은 "석탄발전소 좌초자산 최소화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며 "점차 석탄발전소가 사라지더라도 ESS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역 일자리를 별로 줄일 필요가 없다"라고 밝혔다.
이 전력정책관은 석탄발전소 ESS 활용 방안을 꼽으며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시스템 변화를 강조했다. 앞으로 원자력 발전과 재생에너지 발전을 중심으로 전력을 생산해야 하는 데 그렇게 되면 전력생산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원전은 실시간으로 빠르게 전력생산량을 바꾸기 어렵고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날씨에 따라 전력생산량이 달라진다. 석탄발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은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바꿀 수 있지만 탄소중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점점 줄어들고 있는 에너지원이다.
이 전력정책관은 "(2036년이면) 전력생산에서 60%(원전 30% 재생에너지 30%)를 변동성·경직성 전원으로 해야 하는데 전력시스템에서 유연성을 확보하는 데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원전도 전력수요와 공급에 맞추는 부하추종성 기능을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원전은 전력수요를 예상해 미리 가동규모를 낮춰서 발전량을 조절해왔지만 전력수급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의미다.
재생에너지 가동중단(출력제어)을 보상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정책관은 "전 세계에서 출력제어에 대해 보상하는 제도를 제대로 갖고 있는 나라는 아직 없다"며 "이 문제는 다른 나라도 다 같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희집 에너지미래포럼 사무총장(서울대 교수)이 진행한 질의응답 시간에서 이 정책관에게 송배전망에 대한 민간 투자 유치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이 정책관은 송배전망에 대한 민간 투자 유치가 한국전력공사의 민영화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그는 "송배전망 투자에서 일정부문 민간이 할 수 있는 역할을 고민하고 있다"며 "민간의 송배전망 투자가 한전 민영화 이슈로 나오는데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가상발전소(VPP)와 ESS 등 유연성 자원에 대해 보상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올해 말 내년 초에 시장을 운영해보고 시장에서 보상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