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드리 반전 신호탄 쏜 삼성…"게임체인저 3나노로 승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 '거물급 고객' 확보
4~5나노서 밀리자 '절치부심'
'세계 최초 양산' 앞선 기술력
돌아선 고객사 다시 끌어모아
팹리스 복수공급자 전략도 영향
TSMC "美서 3나노 생산 추진"
4~5나노서 밀리자 '절치부심'
'세계 최초 양산' 앞선 기술력
돌아선 고객사 다시 끌어모아
팹리스 복수공급자 전략도 영향
TSMC "美서 3나노 생산 추진"

심상필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부사장이 지난 15일 열린 기관투자가 대상 사업설명회에서 한 말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1~2년간 4~5㎚ 파운드리 공정의 고객 확보전에서 TSMC에 밀렸다. 퀄컴,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이 주력 칩 위탁생산을 잇달아 TSMC로 돌렸다. 하지만 최신 3㎚에선 ‘반전의 계기’를 만들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심 부사장은 “3㎚ 공정은 게임체인저”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3㎚ HPC 칩 다수 고객사와 개발
22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와 TSMC 등 주요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의 최전선은 3㎚ 공정이다. 3㎚는 반도체에서 전자가 다니는 길의 폭(선폭)을 뜻한다. 폭이 좁을수록 고성능·저전력 반도체 생산이 가능하다.삼성전자의 자신감은 3㎚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정에 관심을 보이는 다수의 글로벌 고객사 영향으로 분석된다. 현재 엔비디아, 퀄컴, IBM, 바이두 등 다수의 글로벌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업체)가 3㎚ 공정에서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인공지능(AI)·네트워크용 반도체 등 고성능컴퓨팅(HPC) 칩을 양산하는 방안을 삼성전자와 논의 중이다.
초미세 공정 파운드리 수요 커져
고객사들이 삼성전자 3㎚ 공정에 관심을 두는 이유로는 ‘기술력’이 꼽힌다. 삼성전자는 지난 6월 30일 “세계 최초로 3㎚ 공정 양산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3㎚ 공정에서 양산된 반도체는 현재 주력 공정인 5㎚ 공정 칩 대비 전력효율과 성능이 각각 45%, 23% 향상된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면적도 16% 줄어든다.ADVERTISEMENT
대만 지정학적 위기에 ‘반사이익’
파운드리에 칩 양산을 맡기는 팹리스들이 지정학적 위기 등의 이유로 ‘복수 공급사’ 전략을 쓰고 있는 것도 삼성전자 3㎚ 공정이 인기를 끌고 있는 원인으로 꼽힌다. 과거 엔비디아 같은 팹리스들이 TSMC에 칩 생산을 위탁했다면 요즘엔 TSMC와 삼성전자에 물량을 나눠서 준다는 것이다.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특히 대만의 지정학적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도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엔 긍정적인 요인으로 평가된다.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는 “지정학적 문제가 불거지면서 고객사들이 ‘제2의 파운드리 업체’를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반도체 후공정(OSAT)업체 고위 관계자는 “우리도 지정학적 위험 때문에 대만 투자 계획을 철회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