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재 의원 “건전성 관리방안 논의해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13일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3사의 올해 6월 말 기준 BNPL 연체율 평균은 5.8%로 집계됐다. 이는 3월 말 평균 4.4%와 비교하면 1분기 만에 평균 1.2%p가 증가한 수치다.
BNPL 서비스는 BNPL 업체가 가맹점에 먼저 대금을 지급하고, 소비자는 물품을 받은 뒤 여러 차례에 걸쳐 업체에 상환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서비스다. 미리 구매하고 할부로 대금을 상환한다는 점에서 신용카드와 유사하다. 하지만 BNPL은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학생, 주부, 사회초년생 등 씬파일러(금융이력 부족자)들도 이용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주요 결제수단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국내에서는 금융당국의 혁신금융서비스 중 하나로 도입이 됐다. 네이버파이낸셜은 2021년, 카카오페이와 토스는 지난해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비스 개시 1년여 만에 누적가입자가 총 300만명에 이를 정도로 사용자가 빠르게 늘어났다.
네이버파이낸셜의 2분기 연체채권은 3억원으로 전분기 3억4000만원보다 11.8% 감소했으며, 연체율 또한 2.7%에서 2.5%로 0.2%p가 감소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연체채권이 같은 기간 44% 증가했다. 하지만 금액이 90만~130만원 수준으로 소액에 불과했으며, 연체율도 0.5% 수준에 그쳤다.
그런데 토스의 연체채권은 같은 기간 15억9000만원에서 17억1000만원으로 7.4% 증가했다. 연체율은 5%에서 7.76%로 큰 폭 증가했다. 연체율이 계속 증가세를 보이자 채권을 회수하며 규모를 줄였지만, 연체채권은 회수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