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내년 한국, 대만 등 아시아 증시 랠리 펼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3년 아시아 증시 평균 9% 상승"
강달러 완화·중국 '위드 코로나' 덕
강달러 완화·중국 '위드 코로나' 덕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던 아시아 증시가 내년에는 크게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달러 강세, 중국의 코로나 봉쇄 등 아시아 증시를 짓눌렀던 악재가 해소되면서 랠리를 펼칠 것이란 분석이다.
블룸버그는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 글로벌 투자은행(IB) 11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인용해 "내년 아시아 증시의 평균 상승률이 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내년 아시아 증시 수익률을 마이너스로 예상한 IB는 한 곳도 없었다.
ADVERTISEMENT
하지만 내년엔 상황이 달라질 것이란 관측이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가 아시아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중국이 고강도 봉쇄 정책을 접고 경제 활동을 정상화하면 내년 경제 성장률이 5% 수준으로 회복하면서 아시아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조절로 강달러 현상이 누그러지는 것도 아시아 증시를 끌어올리는 재료가 된다는 분석이다. 달러 강세에 따른 환차손 우려가 완화하면서 외국인들의 아시아 증시 유입세가 회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새해를 앞두고 부상하는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앞서 올해 증시도 강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Fed의 금리 인상 부작용에 따른 경기침체 위험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증시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