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원 개발 기업과 협업 추진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주요 광물 보유국들의 자원민족주의 바람이 감지되기 시작하면서 우리 정부도 뒤늦게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채비에 나섰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핵심광물 확보를 위한 전략 마련에 들어갔다. 국내 폐자원에서 핵심광물을 재자원화하고, 미국이 주도하는 ‘광물 안보 파트너십(Minerals Security Partnership·MSP)’을 활용한 자원 개발이 핵심이다.
이는 과거 자원외교를 주도했던 한국광물자원공사가 2021년 재정 악화로 해체한 이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던 정부가 해외 자원 개발에 다시 관심을 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골자는 ‘민간 주도’의 자원 개발이다. 이명박 정부 때 정부 주도의 해외 자원 개발이 다수 실패했던 사례를 교훈으로 삼은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국내 기업들도 핵심광물을 확보에 총력을 다하는 과정에서 해외 여러 지역을 두드리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2010년부터 그룹의 미래 먹거리를 ‘핵심자원’으로 지목하고, 염수에서 리튬을 뽑는 기술을 개발했다. 2018년에는 약 3000억원을 투자해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리튬 염호(소금호수)를 인수했다.
또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호주 광물개발업체 ‘진달리리소스’와 업무협약을 맺고, 미국에서 점토 리튬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한국광해광업공단(구 한국광물자원공사)과 함께 지분을 취득한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에서 니켈을 생산하고 있다.
배터리 제조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캐나다 광물업체 3곳과 리튬·코발트 공급 협약을 체결했다. SK온도 같은 해 리튬 확보를 위해 호주 자원개발업체 ‘레이크리소스’ 지분 10%를 매입했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 10년간 레이크리소스에서 리튬 23만t을 공급받기로 했다. 현대차는 호주 희토류업체 ‘아라푸라리소시스’와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MSP 사업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감지된다. MSP 참여 주체는 각국 정부지만, 추진되는 사업은 기업들이 진행하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가 MSP에 활발하게 참여할수록 기업의 사업 경쟁력과 지분이 높아질 수 있다는 의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각국이 자원 판매문을 닫는 가운데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 주도의 국제 협력 파트너십은 좋은 무기가 될 수 있다”면서 “참가국에는 주요 선진국과 광물 보유국 등이 포진하고 있어 관계국 기업과 협업 관계를 맺는 데도 용이하다”고 봤다.
한편 MSP는 전기차·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광물의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인 상황에서 자원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우리나라 외에도 미국·영국·독일·프랑스·캐나다·일본·한국·호주·핀란드·스웨덴·유럽연합(EU) 등 11개국이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