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평] RE100? 핵심은 해상풍력이다

입력:2023-06-13 04:02
수정:2023-06-13 09:30
공유하기
글자 크기 조정

김경식 ESG네트워크 대표·고철연구소장


작년 9월 삼성전자의 ‘RE100’ 가입 선언은 경제계에 큰 충격이었다. 2050년까지 사용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RE100은 가야 할 길이지만 우리는 불가능하다는 게 많은 이의 생각이었다. 무엇보다 재생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전체 전력량의 54%를 제조업이 사용하는데 재생에너지는 7%에 불과하다. 이런 현실에서 전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삼성전자의 선언은 충격일 수밖에 없었다. 기업들은 이전부터 RE100 달성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러자 정부는 2020년 ‘K-RE100(한국형 RE100)’ 제도를 도입했다. 최근에는 ‘CF100(무탄소에너지 100%)’ 포럼을 출범시켰다.

탄소중립을 위한 기업의 행동을 요구하는 이 셋은 중요한 차이가 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발전원)에 있다. RE100은 풍력, 태양광, 수력,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100% 사용해야 한다. K-RE100의 발전원은 RE100과 같고, CF100은 무탄소 에너지는 다 해당이 된다. 원자력은 물론이고 화력발전도 탄소 포집(CCS)을 하면 포함이 된다. 다음 차이점은 중간 달성 목표다. RE100은 2030년까지 60%, 2040년까지 90%, 2050년까지 100%를 달성해야 한다. K-RE100은 2050년까지 100% 달성을 권고한다. CF100은 준비 중이다. 세 번째 차이점은 이행 수단이다. RE100은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구매, 재생에너지 구매계약(PPA), 자체 건설 같은 방법으로 달성하면 된다. K-RE100은 추가로 녹색프리미엄 지불이라는 방법이 있고 CF100은 준비 중이다. 녹색프리미엄은 우리가 구입하는 전기요금에 ㎾h당 10원대 정도 추가로 요금을 지불하는 것인데 단점은 RE100 이행은 물론 온실가스 감축 실적 인정을 못 받는다는 점이다.

영국 민간단체의 한 캠페인(RE100)이 우리나라에 이렇게 복잡한 제도를 불러오는 것은 그것이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음에도 우리는 재생에너지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데 있다. 그러나 ‘생각’을 바꾸면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자연조건에서 우리가 불리한 것은 사실이다. 산악지대가 많아 땅이 부족하고, 태양광 이용률은 우리나라는 15%(3.5HR/일)지만 미국은 30%나 된다. 그렇지만 자연조건이 상대적으로 덜 불리하고 민원 해소도 다소 용이한 풍력발전은 전 세계 풍력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해상풍력은 태양광과 달리 먼 바다에 집단적 설치로 규모의 경제가 가능하고, 우리의 강점인 철강·조선·전선·ICT 융합이 가능하다. 특히 지난 5월 입법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으로 사업 추진 기반도 주어졌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하면 2036년 기준 우리나라 전력 수요량은 66만7000GWh, 발전설비는 239GW로 추정하고 있다. 세계풍력에너지위원회(GWEC)의 보고서(2021년 7월)에 의하면 우리나라 해상풍력 잠재량을 624GW로 보고 있다. 발전설비 624GW의 이용률을 10%로 전제하더라도 전력 수요량의 82%인 54만7000GWh 전력을 얻을 수 있다. RE100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직접 생산에 사용하는 전기(SCOP1)뿐만 아니라 간접전기(SCOP2,3)도 재생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우리나라 전체 전력량의 54%인 산업용 전기+알파의 전기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해야 된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해상풍력만으로도 RE100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정부가 아닌 민간단체가 주도하고 많은 사람이 지지를 보내는 캠페인을 피해가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가 가진 잠재력을 집중 투입해 화석에너지보다 재생에너지 가격이 더 싸지는 그리드 패리티를 달성토록 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재생에너지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RE100도 가능해진다.

김경식 ESG네트워크 대표·고철연구소장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클릭! 기사는 어떠셨나요?
국민일보가 꼼꼼히 읽어보고 선정한
오늘의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국민일보 신문구독

핫이슈 페이지에서 최신 이슈와 트렌드를 따라잡으세요!
HOT Issues핫이슈 주제와 관련된 기사를 모아볼 수 있는 코너입니다
김문수-> 한덕수-> 김문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당 일각에서 권성동 원내대표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과 관련해 “대선 국면에서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11일 밝혔다.

이재명 파기환송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판결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국회에서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가 열린다. 대법원장에 대한 국회 청문회는 헌정

의대생 제적

내년 의대 교육은 1학년만 9000명에 달하는 초유의 상황이 발생할 전망이다. 의대 증원 전 교육 인원의 3배 수준이다. 이들은 의대 6년과 병원 수련을 함께 하기 때문에 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