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아이폰 생산기지인 중국 정저우가 도시 전역에 내렸던 전면 봉쇄를 5일 만에 풀었다. 아이폰을 생산하는 대만 폭스콘 공장의 개점휴업으로 애플의 탈중국에 가속도가 붙을 것을 우려했다는 분석이다.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한 국민의 반감이 극에 달한 것도 감안됐다.

그러나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는 쉽게 잦아들지 않고 있다. 지난 29일 밤 광저우에서 시위 참가자들과 경찰이 충돌한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허난성 정저우시 당국은 일부 코로나19 고위험 구역을 제외한 지역의 봉쇄를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24일 전면 봉쇄를 선언한 지 5일 만에 부분 봉쇄로 전환하고 주민의 외출을 허용했다.

슈퍼와 미용실 등 영업시설이 순차적으로 문을 열었고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 운행도 재개됐다. 정저우 당국은 “점진적으로 일상을 정상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점휴업 상태인 폭스콘 공장을 정상화하려는 의도도 있다는 분석이다. 애플 협력업체인 폭스콘의 정저우 공장은 세계 아이폰 출하량의 70%를 제조한다. 최신 모델인 아이폰14 시리즈는 80%를 담당한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과 고강도 방역으로 지난달 근로자들이 집단 탈출했고 이후 고용한 신규 인력 약 3만 명도 대거 퇴사하며 사실상 생산이 중단됐다.

애플 실적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애플은 매출의 절반이 아이폰에서 나온다. 대만 TF증권의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고가형 모델인 아이폰14 프로와 프로맥스의 4분기 출하량이 7000만~7500만 대로 시장 전망치(8000만~8500만 대)보다 20%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자문사 로보글로벌리서치는 정저우 공장 사태가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애플이 탈중국 속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30일 로이터통신은 29일 밤 중국 광저우에서 새로운 시위가 벌어졌다고 보도했다. 27일 중국 전역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난 지 이틀 만이다. 트위터 등 SNS에는 광저우 주민이 흰 방호복을 입은 경찰과 충돌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들이 올라왔다.

경제 전망은 점점 어두워지고 있다. 29일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중국 경제성장률(3.2%)을 하향 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며 제로 코로나 정책을 완화하라고 경고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