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원시·난시, 방치하면 ‘사시’ 위험… 의심 증상은?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유아·아동기에 근시·원시·난시를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약시나 사시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눈에 들어온 빛이 굴절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망막에 제대로 상이 맺히지 않아 근시·원시·난시 등과 같은 ‘굴절이상’을 유발한다. 상이 망막 앞쪽에 맺히는 것을 ‘근시’라고 하며, 뒤쪽에 맺히는 것을 ‘원시’라고 한다. ‘난시’는 모든 방향(경선)의 굴절력이 동일하지 않아 초점이 한 점에 맺히지 않고 2개 이상 초점을 갖는 상태다. 시력이 한창 발달할 시기인 유아·아동기에 이 같은 증상을 조기 발견·치료하지 않으면 약시, 사시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근시
근시는 거리가 멀수록 잘 보지 못하는 것으로, 많은 아동·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굴절이상이다. 유전적 요인도 영향을 미치지만, 근거리 작업이나 잦은 스마트폰·컴퓨터 사용, TV 시청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기 사용 연령이 낮아지고 사용 시간이 늘면서 근시를 겪는 아동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

근시가 나타나면 일단 먼 거리의 물체를 잘 보지 못한다. 자녀가 학교에서 칠판이 잘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거나 멀리 있는 사물을 볼 때 눈을 찡그리는 경우, 고개를 돌려서 보는 경우 근시를 의심해봐야 한다. 시력 저하로 인해 자주 두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드물지만 근시와 난시가 함께 있거나 비대칭근시·고도근시인 경우 약시를 일으킬 수도 있다. 자녀가 이 같은 증상을 보일 경우, 특히 만 3~4세 미취학아동이라면 입학 전 안과 검진을 받아보는 게 좋다. 성인이 된 후 갑자기 근시가 생기는 경우는 적지만, 백내장 등 다른 질환에 의해 근시가 나타날 수 있다.

원시
상이 망막보다 뒤에 맺히는 원시는 나이와 눈의 조절력 등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나이가 어린 사람들은 망막 뒤 초점을 앞으로 당기는 조절력이 좋기 때문에, 원시가 있어도 초점을 움직여 망막에 상을 맺을 수 있다. 반대로 증상이 심하거나 나이가 들수록 많은 조절력이 필요해지며, 망막 표면에 상을 맺지 못하게 된다. 가벼운 원시는 조절력이 있을 경우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심해지면 굴절력을 높이려는 조절이 증가하면서 시력감소, 눈의 통증, 두통 등이 생길 수 있다. 과도한 조절로 인해 눈모임이 증가할 경우 ‘내사위’ 또는 ‘내사시’가 나타나기도 한다.

원시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대부분 아기는 출생 직후 약한 원시를 갖게 되는데, 안구가 성장하면서 정시(正視)로 발달하는 ‘정시화’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원시가 남을 수 있다.

난시
난시가 있으면 2개 이상 초점을 갖게 돼 사물이 흐릿하게 보인다. 물체 위치와 관계없이 먼 곳, 가까운 곳 모두 흐릿하게 보이며, 근시가 동반된 경우 가까운 곳이 조금 더 잘 보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약한 수준의 난시를 갖고 있지만, 정도가 심하면 시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조절현상에 의해 눈이 피로해지거나 두통을 느끼기도 하며, 선명하게 보기 위해 자주 눈을 찡그리는 버릇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드물지만 한 눈으로 봐도 사물이 이중으로 보이는 ‘복시’가 나타날 수 있다. 어린 아이의 경우 학교를 다니지 않거나 글을 배우기 전이라면 난시가 있다는 사실을 느끼지 못할 수 있으므로, 만 3세 정도에 시력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jjb@chosun.com


헬스조선에만 있다 1: 전 국민 당뇨 솔루션!
헬스조선에만 있다 2: 국내 명의 600명 누구?
헬스조선에만 있다 3: 세상의 모든 건강 정보!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