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5년 10개월 만에 최대…전셋값도 60주째 '굳건'

입력
수정2024.07.11. 오후 9:50
기사원문
배수람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전셋값 상승세도 꺾이지 않는 모습이다.ⓒ부동산원
[데일리안 = 배수람 기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전셋값 상승세도 꺾이지 않는 모습이다.

11일 한국부동산원이 7월 2주(8일 기준) 전국 주간아파트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4% 전세가격은 0.05% 각각 올랐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일주일 전(0.03%) 대비 상승폭을 키웠다. 수도권(0.10%→0.12%) 및 서울(0.20%→0.24%)은 상승폭 확대, 지방(-0.04%→-0.03%)은 하락폭 축소됐다.

서울은 0.24% 오르며 2018년 9월 3주(0.26%) 이후 5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16주 연속 오름세다.

자치구별로 보면 '마용성'(마포·용산·성동)과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 등이 강세를 보였다.

성동구는 0.52%, 용산구는 0.36% 각각 올랐고, 마포구는 0.35% 상승했다. 서대문구와 은평구도 각각 0.35%, 0.30% 상승했다. 송파구는 0.41% 상승했으며 서초구가 0.40%, 강동구와 강남구가 0.32%, 0.28% 오르며 뒤를 이었다.

부동산원은 "정주여건이 양호한 선호단지 위주로 매수문의 지속 및 매도 희망가격 높아지면서 상승거래가 발생하고 있으며, 가격상승 기대심리가 인근 단지에도 확대되는 등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 강세도 이어졌다. 60주 연속 오름세다.ⓒ부동산원
인천과 경기는 각각 0.06% 상승했다. 지방에선 5대 광역시가 0.06% 떨어졌고, 세종은 0.14%, 8개도는 0.01% 각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 강세도 이어졌다. 60주 연속 오름세다. 수도권(0.12%→0.13%)은 상승폭 확대, 서울(0.20%→0.20%)은 상승폭 유지, 지방(-0.02%→-0.02%)은 하락폭 유지됐다.

자치구별로 보면 영등포구(0.36%), 은평구(0.34%), 노원구(0.30%) 등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상승했고, 성동구(0.27%), 양천구(0.25%), 서대문구(0.23%), 용산구(0.22%), 강북구(0.22%), 서초구(0.21%) 등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부동산원은 "전세자금대출을 활용한 수요 등의 영향으로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 이어지고 있으며, 매물 소진됨에 따라 인근 단지에서도 거래가격 상승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인천(0.10%)은 일주일 전 상승폭을 유지했고, 경기는 일주일 전 대비 소폭 올라 0.10% 변동률을 기록했다.

지방 아파트 전세시장은 약세 흐름을 보였다. 5대 광역시는 0.03% 떨어졌고, 세종과 8개도는 각각 0.01%, 0.02% 하락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