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작년 3.5% 감소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 대비 3.5%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는 원자력 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늘어난 데다 석유화학, 철강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환경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는 25일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을 공개했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5450만t으로 전년보다 3.5% 줄었다. 역대 최대 배출량을 기록한 2018년 7억2700만t과 비교하면 10% 감소한 수치로 2010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ADVERTISEMENT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전년 대비 -3.5%)과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6.4%) 2년 연속 줄어들다가 2021년 3.3% 늘어났지만 지난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에는 경제성장률이 2.6%를 기록했는데도 온실가스가 줄었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국내총생산(GDP)당 배출량’도 개선됐다. 10억원당 332t으로 전년 대비 5.9% 감소했다. 1990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부문별로 보면 발전을 포함한 전환 부문은 4.3% 감소하고(2021년 2억2370만t→지난해 2억1390만t)하고, 산업 부문은 6.2% 감소(2억6210만t→2억4580만t)했다. 반면 건물 부문은 3.9%(4690만t→4830만t), 농축수산 부문은 1.0%(2520만t→2550만t) 증가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든 핵심 요인으로 ‘원전을 활용하는 윤석열 정부 에너지정책 변화와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꼽았다. 지난해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보면 산업부문 감소율이 6.2%로 가장 컸다. 감축량은 1630만t에 달했다. 세계 경기 하강으로 철강, 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온실가스 배출이 급감한 측면이 있다. 철강은 8.9%, 석유화학은 5.9% 배출량이 줄었다.

ADVERTISEMENT

기업의 지속적 감축 노력도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든 요인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계에선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장치인 스크러버의 효율을 개선하고 설치 대수를 늘리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25.8% 줄었다”고 설명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