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경제 회원이 되어 보세요

지금 바로 한국경제 회원으로 가입하시고, 독점 혜택을 누려보세요

  • 특별한 뉴스와 분석 보고서 접근
  • 주식 시장 및 경제 동향에 대한 최신 정보
  • 한경만의 독자적인 콘텐츠에 대한 접근
  • 이벤트 및 세미나 참가 기회

이미 회원이시면 로그인을 클릭해 주세요

    ADVERTISEMENT

    소주값 인상 제동 건 정부…현장선 이미 '6000원 시대'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재부·국세청 실태조사 착수
    정부가 ‘소주값 6000원 시대’를 막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주정, 병 등 원재료값이 급등해 소주 출고가도 조만간 따라 오를 것이란 관측이 확산하자 출고가 적정성 여부는 물론 주류업계 이익 규모, 경쟁 구도 등까지 살펴보겠다고 나선 것이다. 소주 출고가가 지금보다 오르면 상당수 식당에서 병당(360mL) 5000원인 소비자가격이 6000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은 주류업계 소주값 인상 움직임과 관련해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주정, 병 등 원재료 가격과 제품 제조에 사용하는 에너지 가격 등의 상승폭이 소주값 인상으로까지 이어져야 할 수준인지 따져본다는 게 관계당국의 방침이다. 더 나아가 주류업계 수익 및 독과점 구조 등을 뜯어볼 가능성도 점쳐진다.

    ADVERTISEMENT

    하이트진로, 롯데칠성음료 등 주요 소주회사는 지난해 2월 출고가를 7%대 올린 만큼 아직 가격 인상 방침을 세우지 않았다. 하지만 주정의 원료인 타피오카 가격이 매년 상승하고 있는 데다 이달 들어 소주병 가격이 20%가량 올라 압박을 받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가 “이익 구조까지 살펴보겠다”며 초강력 제동을 걸고 나선 만큼 주류회사들은 당분간 수익성 훼손을 감내하면서 출고가 인상을 억제할 것이란 게 관련 업계의 관측이다.

    정부가 소주값 인상 저지에 전력투구하는 모양새지만 현장에선 이미 소주값 6000원 시대가 현실화하는 분위기다. 음식점 및 주점에서 팔리는 소주는 서울 청담, 압구정 등 강남 상권에선 병(360mL)당 7000원, 직장인이 많이 모이는 도심 주요 상권에선 6000원에 속속 진입하는 추세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

    ADVERTISEMENT

    1. 1

      강남 식당선 소주값 7000원…술 한잔도 쓰디쓴 '酒플레이션'

      정부가 ‘소주값 6000원 시대’를 막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주정, 병 등 원재료값이 급등해 소주 출고가도 조만간 따라 오를 것이란 관측이 확산하자 출고가 적정성 여부는 물론 주류업계 이익 ...

    2. 2

      식당서 소주 한 병에 6000원?…부랴부랴 진화 나선 정부

      '서민의 술' 소주 가격 인상 전망 속 정부가 내부적으로 주류업계 실태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난방비 폭탄' 사례를 비롯한 ‘공공요금발(發) 물가 상승&rsq...

    3. 3

      정부, 상속세·부동산세 개혁 전담반 구성

      정부가 상속·증여세와 부동산 세제 개편을 위한 전담 조직인 조세개혁추진단을 설립한다. 상속세의 유산취득세 전환,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 등 보유세 부담 경감 등 굵직한 조세개혁 과제를 보다 속도감있게 추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