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 개발제한 풀리나…북한산 맞닿은 15만㎡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동

입력
수정2024.05.23. 오전 4:17
기사원문
김평화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13년 지구단위계획 수립에서 제외된 평창동 421~562번지 일대 대상으로 추진
평창동 사업 대상지/자료=종로구청
서울 종로구 평창동 주택들을 둘러싸며 북한산과 맞닿은 지역 개발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종로구가 북한산 국립공원과 잇닿아 있는 평창동 일부 주택단지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하면서다.

종로구는 2013년 지구단위계획 수립에서 제외된 평창동 421~562번지 일대 지역 15만여㎡를 대상으로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종로구는 "해당 지역의 보호 가치를 고려한 차별화된 건축계획을 세우고 지속가능한 도시 관리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해당 지역은 정부에서 1971년 북한산비봉공원을 해제하고 주택단지 조성 사업지로 결정한 뒤 일부 택지를 민간에 분양한 곳이다. 하지만 관련 법규 강화에 따라 개발 행위가 제한되면서 지난 50여 년 가까이 주민들의 개발 요구가 지속돼 왔다.

2013년 지구단위계획 수립으로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한의 개발이 가능해졌으나, 북한산국립공원 연접지는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제외돼 형평성 문제까지 제기됐다.

이에 종로구는 이번에 이 일대의 보호 가치를 고려한 차별화된 지구단위계획을 세워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관리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주민 정주권 보호와 문화·예술 활성화, 자연 생태 보존영역 확보, 북한산 경관 조망점 발굴 등에 중점을 뒀다. 구는 올해 내로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주요 절차를 빠르게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한편 지난 3월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조례'가 개정·시행되면서 절대 보전지역이던 비오톱 1등급지에 대한 개발가능성 역시 열리게 됐다. 비오톱은 동식물 등이 하나의 생활공동체를 이루는 서식지를 말한다. 종로구는 이곳에도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면 개발 행위를 통해 재산권 행사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종로구 관계자는 "북한산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이 일대가 품고 있는 오랜 역사, 문화와 조화를 이루는 건축계획을 세우고자 한다"라면서 "오랜 시간 지역 간 개발 불균형 문제와 재산권 침해를 호소해 온 평창동 주민들의 숙원을 현실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