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 일정하고 수심은 낮아
해상풍력 최적의 조건 갖춰
신안에 세계최대 단지 추진
어업인과 공존위한 협약도
해상풍력 최적의 조건 갖춰
신안에 세계최대 단지 추진
어업인과 공존위한 협약도

13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지역은 국내 최대인 14GW 규모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해 48개가 추진 중이다. 전남 서남해안은 일정한 풍속과 낮은 수심 등을 배경으로 해상풍력발전의 최적지로 평가받는다.
산업부가 발표한 '신재생에너지백서'에서도 국내 해상풍력 잠재량 386.5GW 중 전남이 125GW로 32%를 차지하며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전남 해상풍력발전은 전남 신안군에서 단일 단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추진되는 8.2GW급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이 대표적이다. 총 3단계에 걸친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되면 12만개의 일자리 창출 및 450개 기업 유치·육성이 예상된다.
해상풍력발전의 가능성은 해외에서도 주시하고 있다.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는 지난달 발표한 '2023 세계 풍력보고서'를 통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전 세계에 682GW 규모 풍력발전시설이 신규 설치될 것으로 내다봤다.
유럽과 중국 등 주요 각국이 해상풍력발전 규모를 늘리기 위한 계획을 도입하면서 지난해까지 전 세계에 설치된 풍력발전시설은 906GW 규모에 달한다. 풍력발전 성장세는 향후 5년간 연 평균 15%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의 발전량 비중을 기존 87대13에서 60대40 수준까지 조정하고 풍력발전시설을 연 1.9GW 규모로 보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전남도 또한 30GW 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해 신재생에너지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확보할 방침이다.
하지만 복잡한 인허가 절차가 발목을 붙잡는다. 해상풍력시설을 설치하려면 10개 부처, 29개 법령에 걸친 인허가 절차 때문에 평균 5~6년의 시간이 소요돼 사업의 적기 추진이 어렵다.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남 목포)이 2021년 5월 해상풍력 보급 확대를 위한 '풍력발전 보급 촉진 특별법'을 발의했지만 국회 문턱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여야가 지난 2월 해상풍력 활성화를 위한 '해상풍력 특별법'을 발의하면서 올해 상반기 법안소위 등 국회 통과가 기대되고 있다.
특별법이 통과되면 국무총리 소속 인허가 원스톱 전담 기구가 신설되고 국가 주도 계획 입지를 통한 주민 수용성 확보방안이 강화돼 해상풍력발전 도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해상풍력발전 도입의 핵심이자 최대 난제는 지역주민들의 수용성 확보다. 국가적 미래를 확보하기 위한 사업이라고 해도 어장 등 생계 수단을 잃을 수 있는 주민들의 반발에 직면하면 추진력을 얻기 힘들다.
하지만 지난 3월 어업인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신안군 어업인연합회가 '정부의 해상풍력 조성 촉구 성명서'를 발표하면서 전남에서는 해상풍력에 대한 긍정적인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전남도와 신안군, 신안군어업인연합회 등은 해상풍력과 어업인 및 수산업과 공존을 위한 '신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상생 협약'을 체결하면서 환경 친화·주민 상생형 발전사업을 추진할 밑바탕도 확보해뒀다.
원활한 해상풍력발전을 위해서는 단지 건설 및 운영, 유지보수에 필요한 기자재 조립·보관·운송 등을 위한 전용 항만이 필수요소로 꼽힌다. 국내에서 당장 사용 가능한 해상풍력 설치항만은 목포신항이 유일하지만 수요 대비 선석 및 배후단지가 좁아 추가 항만 및 배후단지 개발이 절실하다.
전남도는 국내 해상풍력사업이 본격 진행될 2025년까지 전남 해남 화원산단에 해상풍력사업 배후단지 총 205만5000㎡(62만평)를 개발하고 해상풍력 관련 기업에 약 113만1000㎡(34만평)를 분양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배후단지 등 기반 시설이 조성되면 터빈, 블레이드, 하부 구조 등 국내외 해상풍력발전 선도 기업 유치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구조로 전환은 필수"라며 "탄소국경세 도입 등 국제사회의 RE100 요구 속도가 빨라진 만큼 전남도가 양질의 해상 바람으로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진창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