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열고 냉방, 장사 끝나도 환한 조명에…전기료 年 2兆 '낭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에너지가 샌다
(1) 상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
명동 가게 70% '개문 냉방' 영업
길거리 매대 조명 켠 곳도 수두룩
전국 도·소매, 식당 210만 곳
밤에 불만 꺼도 年 1.7조 절감
업소당 한 해 83만원 절약 가능
(1) 상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
명동 가게 70% '개문 냉방' 영업
길거리 매대 조명 켠 곳도 수두룩
전국 도·소매, 식당 210만 곳
밤에 불만 꺼도 年 1.7조 절감
업소당 한 해 83만원 절약 가능

다음날 오후 2시께 찾아간 신촌의 한 까페에선 온도계가 20.9도까지 떨어졌다. 정부가 권장하는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는 26도인데 5도 이상 낮은 것이다. 서울 대치동에 있는 커피전문점도 상황은 비슷했다. 커피숍에서 만난 한 40대 남성은 “책 읽으러 왔는데 가만히 앉아 있으면 으슬으슬 추울 정도”라며 “이렇게까지 에어컨을 세게 틀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선선한 날에도 문 열고 냉방

8일 오후 둘러본 서울 명동 일대 상가도 마찬가지였다. 잠시 이슬비가 내려 바깥 기온이 24~25도 정도였지만 상점은 대부분 문을 열어둔 채 에어컨을 틀어놓고 있었다. 기자가 명동 거리 약 300m를 걸으면서 직접 세어 본 38개 가게 중 27곳(71%)이 ‘개문(開門) 냉방 영업’을 하고 있었다. 한 화장품 가게는 문에서 2m 정도 떨어진 곳에서부터 한기가 느껴질 정도였다. 매장 직원이 모두 긴팔 차림이었다. 한 시민은 “여름철에 손님을 더 끌기 위한 것 같은데, 에너지가 줄줄 새는 현장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했다. 대낮인데도 가게 밖 매대에 조명을 비쳐놓은 가게도 많았다. 한 과자가게는 외부 조명만 60개가 넘게 켜놨다.
불만 잘 꺼도 무역적자 개선

ADVERTISEMENT
즉 ‘문 닫고 냉방’과 ‘영업종료 후 소등’을 같이하면 자영업자들이 연간 2조원에 가까운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고, 가게 한 곳당 연간 90만2500원을 절약할 수 있다.
에너지 절약은 국가적으로도 피할 수 없는 과제다. 지난해 한국의 에너지 수입액은 1908억달러에 달했다. 전년 대비 784억달러(69.8%) 늘었다. 지난해 전체 수입액 대비로는 26.1%나 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에너지 수입 증가가 무역적자(지난해 472억달러 적자)의 핵심 원인”이라고 했다.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이란 불가피한 요인이 있었다고는 하지만 에너지 절약만 잘 했어도 무역적자를 상당폭 줄일 수 있었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석유 소비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석유 소비는 1억1600만t으로 세계 7위다. 독일은 1억700만t으로 10위였다. 일본은 1억6800만t으로 4위였지만 1인당 소비량으로는 1.36t으로 한국의 2.25t보다 40%가량 적었다.
박한신/이슬기 기자 phs@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