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해상 방류하더라도 2051년 원전 폐기 불가능”

입력:2023-08-24 04:06
공유하기
글자 크기 조정

日 언론 지적… “현실 직시해야”
中, 센카쿠 열도에 해경 순시선

오염수 탱크가 설치된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전경. 교도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24일부터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더라도 최종 목표인 사고 원전 폐쇄의 극적인 진전은 어렵다고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이 23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2051년까지 원전 폐기 작업과 오염수 방류를 완료할 방침이다. 원자로에서 반출한 핵연료 잔해는 오염수 저장탱크 철거 뒤 그곳 부지에 보관할 계획이다. 하지만 합계 880t으로 추정되는 후쿠시마 원전 1∼3호기의 핵연료 잔해 반출 일정은 미정이다. 일본은 내년 3월 이전 반출을 시작하겠다고 했지만 대량의 핵연료 잔해를 반출할 방법은 여전히 분명하지 않다는 게 아사히의 지적이다.

오염수 방류도 목표 시점까지 완료가 쉽지 않다. 도쿄전력은 내년 3월까지 전체의 2.3%인 3만1200t을 방류할 계획이지만 빗물과 지하수로 매일 90∼100t가량의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어 방류로 줄일 수 있는 오염수는 약 1만1000∼1만2000t이다. 마이니치신문은 “탱크의 70%에는 방사성물질 농도가 기준치 미만까지 떨어지지 않은 물이 있다. 방류 완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사설에서도 “2051년쯤 원전 폐기를 완료한다는 목표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엄중하게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했다.


중국은 이날 일본과 영유권 갈등을 빚고 있는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에 해경 순시선을 보냈다. 중국 해경은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2502함 편대가 댜오위다오 영해 내에서 순찰하고 있다”며 “이는 법률에 따라 진행하는 권익보호 순찰 활동”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일본이 대만 문제 등 핵심이익을 건드리는 발언이나 행동을 할 때마다 해경선을 보내 무력시위를 벌이고 있다. 중국은 또 전날 다루미 히데오 주중 일본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달부터 일본산 수산물을 대상으로 방사선 검사를 하고 있는데 해양 방류가 시작되면 추가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 7월 중국이 일본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감소했다.

송태화 기자,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클릭! 기사는 어떠셨나요?
국민일보가 꼼꼼히 읽어보고 선정한
오늘의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국민일보 신문구독

핫이슈 페이지에서 최신 이슈와 트렌드를 따라잡으세요!
HOT Issues핫이슈 주제와 관련된 기사를 모아볼 수 있는 코너입니다
조기 대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각각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앞세운 10대 공약을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

이재명 파기환송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판결과 관련해 열리는 국회 청문회에 조희대(사진) 대법원장 등 출석 요구를 받은 법관 전원이 불출석하기로 했다. 판결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

SKT 해킹

한국소비자원은 SK텔레콤 가입자 유심(USIM) 해킹 사고를 악용해 소비자원을 사칭한 피싱·스미싱 문자메시지가 발송되고 있다며 소비자들에게 주의를 13일 당부했다. ‘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