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 이동통신' 누가 나올까…롯데·쿠팡·네이버 등 거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IT 기업들을 중심으로 접촉하며 제4 이동통신 참여 의사를 확인하는 중이다. 정부는 새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28㎓ 망을 최소 3년간 독점 공급하고 할당 대가도 종전보다 늦게 받기로 하는 등 줄 수 있는 ‘당근’은 모두 준비하겠다며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있다.
ADVERTISEMENT
가장 유력하게 꼽히는 후보는 쿠팡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사업자들이다. 특히 쿠팡은 동영상 서비스(OTT) 쿠팡플레이를 초고화질로 제공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늘 첫손에 꼽히는 후보다. 전국 30여곳에 보유한 대규모 물류센터를 28㎓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할 수도 있다.
경기 판교 정자동 본사 사옥을 ‘이음5G’를 활용해 스마트 오피스로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도 정부의 러브콜을 받는 대상이다.
ADVERTISEMENT

다만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은 모두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정부가 제시하는 요건을 맞추려면 최소 3000억원을 투자해야 하는데 그 이상의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고, 한 번 투자하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등의 책임이 발생하는 것도 부담스럽다는 것이 내부적인 판단이다.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28㎓는 직진성이 너무 강해 기지국을 낮게, 많이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지나가기만 해도 통신이 방해될 정도로 회절성이 떨어진다”며 “28㎓를 쓸 수 있는 단말기도 없는 상황에서 정부 말만 믿고 시작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