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4대보험 간편계산기 이용법

우리나라는 4대보험이라는 사회경제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이는 국민연금 및 고용보험, 건강보험, 산재보험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일반 민간보험과 달리 가입이 강제성을 띠고 있으며, 공동부담의 원칙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4대보험 간편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회사에 다니는 분들은 급여를 받을 때 4대보험료가 차감되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금액이나 비중에 대해 궁금할 때도 있는데 이는 전용 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4대보험 간편계산기


4대보험 간편계산기 같은 경우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에서 제공하는 것을 이용하면 되는데요. 본인의 급여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보험료의 요율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용하는 인터넷 웹 사이트 검색창을 이용하여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를 조회한 뒤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겠습니다. 사이트 상단 오른편에 보면 사이트맵이라는 메뉴가 있는데 이를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4대보험 간편계산기는 사이트맵 화면 오른쪽에 보면 보험료 모의계산이라는 메뉴를 통해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 보험료를 나눠서 계산할 수 있는데 월 급여를 입력 후 계산 버튼을 누르면 근로자 및 사업주의 부담금이 각각 계산되어 나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만원의 월급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이 각각의 결과를 받아볼 수 있네요.





지금까지 4대보험 간편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산재보험 같은 경우 사업종류별로 보험요율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하시려면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하셔야 된다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