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15일 열리는 우크라이나와의 협상 대표단 명단을 확정했다. 푸틴 본인의 이름은 없었고, 정부 내 고위급 실무자들이 자리를 채웠다. 이로써 세계적 관심을 모았던 푸틴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간의 만남은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앞서 11일 푸틴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직접 협상을 제안하자, 젤렌스키는 푸틴과 정상회담을 역제안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초청했다.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은 14일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의 협상을 위한 러시아 대표단 구성을 승인하고, 이에 대한 공식 명령서에 서명했다”며 대표단 명단을 공개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대표단장 역할을 하는 수석 대표는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대통령 보좌관이다.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평화 협상을 시도했을 당시에도 협상 대표단을 총괄한 인물이다.
이어서 미하일 갈루진 외무차관, 이고리 코스튜코프 총참모부 정보국장(GRU), 알렉산드르 포민 국방차관 등 국방과 외교 분야의 고위 인사들이 포함됐다. 또 인도주의 분야 정책을 담당하는 엘레나 포도브리브스카야 대통령실 부국장, 알렉세이 폴란드추크 외무부 CIS국 제2부국장, 빅토르 셰브소프 국방부 국제군사협력국 부국장 등도 협상장에 나온다.
러시아는 “이번 협상은 2022년 3월 키이우의 일방적 결정으로 중단됐던 기존 양국 간 평화 협상을 재개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 외교정책보좌관은 이날 “당시 협상이 보리스 존슨 전 영국 총리의 개입으로 중단됐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이번 만남에서는 (휴·종전을 위한) 정치적 쟁점뿐 아니라 기술적 세부 사항도 이번 협상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2022년 2월 말 벨라루스 고멜에서 만난 것을 시작으로, 3월 말 이스탄불 돌마바흐체 궁전의 마지막 고위급 회담까지 총 4차례 만났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의 부차 학살 사건 이후 강경 입장으로 선회하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당시에도 메딘스키가 러시아 측 대표단을 이끌었으며, 러시아 외무·국방 부처 및 의회 인사들이 포함된 바 있다.
푸틴이 협상에 직접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보이면서 “튀르키예에서 푸틴을 직접 기다리겠다”고 했던 젤렌스키도 협상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앞서 두 사람이 만날 경우 현재 중동을 순방 중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동참할 가능성도 거론됐다. 유럽 외교가에서는 “러시아가 협상의 실질적 진전을 기대하기보다 정치적 메시지를 발신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