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우리 입주할 수 있나요” 대우조선건설 회생절차 속 불안감

도급 83위·‘엘크루’ 브랜드 보유…경영난에 임금 체불·공사비 미납

  • 박호걸 기자 rafael@kookje.co.kr
  •  |   입력 : 2023-03-20 20:09:58
  •  |   본지 2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 기장·고성현장 분양 순연 등 혼선
- 건설업계 “대형사 동반부실 우려”

국내 도급 순위 100위권 내 중견 건설업체가 자금난으로 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부산 경남 건설 현장에도 불똥이 튀었다.
20일 국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달 6일 서울회생법원은 경영난을 겪는 대우조선해양건설에 대한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이 시공하는 현장에서 하도급 업체에 대금이 지급되지 않고 임직원 임금도 체불되자 노조가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였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지난해 기준 도급 순위 83위로 시공 능력 평가액이 3514억 원에 달한다. ‘엘크루’라는 자체 아파트 브랜드도 있다.

주요 사업장은 크고 작은 타격을 받았다. 전국 곳곳에서 공사가 중단·지연되고 분양이 연기되는 곳도 발생했다. 부산 경남의 사업장도 예외는 아니다. 부산의 대우조선해양건설 사업장은 기장읍 청강리 ‘엘크루 더 퍼스트’로 총 230세대 규모다. 예비 입주민은 불안감을 호소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시공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갔다는데 공사가 진행되느냐”는 문의가 줄을 잇는다. 국제신문이 현장을 확인한 결과 현재 공사는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오는 8월이었던 입주 예정일이 내년 2월로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얼마 동안 공사가 중단된 것 같더니 최근 재개한 것 같다”고 전했다.

그나마 부산 사업장이 큰 피해가 없는 건 계약 방식 덕분이다. 신탁사가 ‘책임 준공 확약’을 맺어 시공사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책임을 지고 공사를 마치게 돼 있다. 신탁사가 무너지지 않는 한 공사를 계속할 수 있다. 기장군 관계자는 “시공사 변경이나 공사 중지에 대한 신고가 접수되지 않았다. 다소 늦어지더라도 공사는 계획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지역의 현장은 부산보다 충격이 크다. 시공사를 변경하거나 분양을 연기했다. 경남 고성 ‘고성 스위트엠 엘크루’는 공사가 중단됐다가 최근 시공사를 SGC이테크건설로 교체했다. 시행사와 신탁사가 최근 대우조선해양건설이 회생절차에 들어가자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할 수 없다고 판단해 시공사를 변경했다. 새 시공사 SGC이테크건설의 지난해 도급 순위는 39위로 대우조선해양건설보다 높다. 시공사 교체로 아파트 이름도 ‘고성 스위트엠 엘크루’에서 ‘더 리브 스위트엠’으로 바뀔 예정이다.

지난달 경남 거제 아주동에서 분양할 계획이던 ‘거제 아주동 엘크루(가칭)’는 분양이 연기됐다.

건설업계의 충격과 불안감은 커진다. 레고랜드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경색 후 상위 100대 건설사의 부도 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다. 부산 건설업계 관계자는 “작은 업체에서 시작한 문제가 300위권(경남 창원 동원건설산업)을 거쳐 이제 100위권까지 번지는 모양새다. 건설업의 위기를 실감한다”며 “일부 현장은 신탁사가 책임을 진다고 하지만 이런 사례가 늘어나면 신탁사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에서 여수·제주 들르는 연안 크루즈, 반값에 즐기세요”
  2. 2청사포 위험천만 포토존 더 붐비는데…뾰족한 해법 못찾아
  3. 3빈약한 부동산 공약…지방 대책은 실종
  4. 4[뭐라노-보고가이소] 부산도 '호우 긴급재난문자' 발송된다
  5. 5기껏 공모해놓고…해월전망대 새 이름도 해월전망대
  6. 6[속보]PK 이재명 41% 김문수 39% 오차범위 내 …TK 李 34%·金 48%[한국갤럽]
  7. 7김문수 “교육감 직선제 없애겠다”…이재명 “교사 정치활동 자유 보장”
  8. 8국힘 강성 보수인사 줄합류…외연확장에 악재만 쌓여
  9. 9HMM 겹호재…장중 52주 신고가
  10. 10관청 AI에게 문서작성 맡겼다가…허위정보에 발칵 일쑤
  1. 1[속보]PK 이재명 41% 김문수 39% 오차범위 내 …TK 李 34%·金 48%[한국갤럽]
  2. 2김문수 “교육감 직선제 없애겠다”…이재명 “교사 정치활동 자유 보장”
  3. 3국힘 강성 보수인사 줄합류…외연확장에 악재만 쌓여
  4. 4민주 ‘박빙’ 내세워 김문수 집중견제…압승 노리는 전략?(종합)
  5. 5동래향교 찾고, 종교지도자 만나고…이준석 남다른 부산 공략법 먹힐까
  6. 6이재명 ‘텃밭’ 호남서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목청
  7. 7홍준표 “문수 형은 안타깝지만…하와이 오지 말라고 했다”
  8. 8홍준표 “문수 형은 안타깝지만…하와이 오지 말라고 했다”
  9. 9[속보] 대선후보 지지도 이재명 51.9%…김문수 33.1%·이준석 6.6% [리얼미터]
  10. 10초반 약세 김문수, 험지 수도권 공략 “계엄에 경제악화 사과”(종합)
  1. 1“부산에서 여수·제주 들르는 연안 크루즈, 반값에 즐기세요”
  2. 2빈약한 부동산 공약…지방 대책은 실종
  3. 3HMM 겹호재…장중 52주 신고가
  4. 4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5000만 원→1억 원으로 상향
  5. 5고령 자영업자 2032년 248만 명 전망…금융·경제 위험 요인(종합)
  6. 6더 싸게, 더 다양해진 메뉴…마트·편의점의 만찬
  7. 7‘부산 청소년 북극체험 탐험대’ 8명 선발
  8. 8부산 상공계와 소통 힘 쓰는 민주…국힘은 아직 정중동
  9. 9아워홈 품은 한화그룹, 급식 사업 확장
  10. 10신협중앙회, 상호금융 첫 ‘대출금리 비교 서비스’ 순항
  1. 1청사포 위험천만 포토존 더 붐비는데…뾰족한 해법 못찾아
  2. 2[뭐라노-보고가이소] 부산도 '호우 긴급재난문자' 발송된다
  3. 3[뭐라노-보고가이소] 부산도 '호우 긴급재난문자' 발송된다
  4. 4기껏 공모해놓고…해월전망대 새 이름도 해월전망대
  5. 5관청 AI에게 문서작성 맡겼다가…허위정보에 발칵 일쑤
  6. 6부산 아동센터 곰팡이 간식·학대 논란
  7. 7“집회로 공사 압박하면 업무방해” 대법 유죄 확정
  8. 8부산 동구, 부산항만공사와 북항 재개발 업무협의 추진 “주민 목소리 담는다”
  9. 9경사도 8% 이하, 곳곳 휴게쉼터…이기대 무장애 숲속 산책길 개방
  10. 10“청소년도 정치 주체입니다” 대선 맞춰 10만 모의 투표
  1. 1코리안 빅리거 3인방, 나란히 웃었다
  2. 2NC, 48일 만에 문수구장서 홈 경기
  3. 3역도 박혜정, 아시아선수권 합계 2위
  4. 4프로야구 전 경기 우천 취소…NC, 문수구장 데뷔 미뤄져
  5. 5좌완 감보아·불펜 최준용 등판 임박…롯데 마운드 숨통 틜까
  6. 6‘거인 4번’ 이정후, 안방서 388일 만에 홈런
  7. 7롯데 한현희 1군 말소…다음은 윤성빈?
  8. 8레이예스 투런 홈런 쾅!…뚝심 보인 롯데
  9. 9반즈 방출 롯데, 감보아 영입
  10. 10잠잠해진 나승엽…안간힘 쓰는 손호영
우리은행
불황을 모르는 기업
굴 유산균 발효 특허 물질…아이 키 성장 돕는다
불황을 모르는 기업
기능성 슬리퍼 강자…키즈 실내화도 인기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