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장인이 급여를 받을 때 각종 세금을 제하고 수령하게 되는데 항목이 다양하며 요율도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을 계산하려면 별도의 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

 




오늘은 근로소득세 계산기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에서는 국민을 상대로 각종 세금을 부여하고 있는데 소득세도 그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소득에 대해서 부과되는 국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과세표준에 따라 각기 다른 요율이 적용되게 되는데 최소 6%에서 최대 42%까지 적용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상당한 금액을 납부해야 할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초고소득자에게 해당되며, 일반적인 상황은 그다지 큰 부담이 안될 것 같네요. 






근로소득세 계산기 같은 경우 본인의 월급 및 비과세액, 부양가족수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이용할 수 있는데요. 이를 이용해 보기 위해 잡코리아 홈페이지를 조회 후 방문해 보겠습니다. 상단에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연봉계산기를 조회 후 바로가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아래과 같이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데 차례로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부양가족을 4명, 월급을 350만원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확인해 보니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근로소득세는 약 5만2천원 정도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근로소득세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는데 공제액 목록에는 적용되는 요율도 안내하고 있다는 점을 참고하여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